이경래 신부 칼럼  
 

2024년 5월 성공회신문 연재글
작성일 : 2024-06-08       클릭 : 96     추천 : 0

작성자 베드로  

 

Sloth’s languid lack of passion

게으름뱅이의 나른한 열정 부족

 

In the appropriately last in a series on the Seven Deadly Sins, Graham Tomlin looks at what’s lost to life when sloth sets in.

일곱 가지 대죄 시리즈의 마지막에 걸맞게 그레이엄 톰린은 나태의 죄를 다루면서 나태가 자리잡은 삶이 무엇을 잃게 되는지 살펴봅니다.

 

Graham Tomlin

Graham is the Director of the Centre for Cultural Witness and a former Bishop of Kensington.

필자: 그레이엄 톰린(문화 증인 센터 센터장, 前 켄싱턴 주교)

번역: 시대문화와 선교 연구소 번역팀 / 감수: 허범 신부 / 이경래 신부

 

 

Sloth is the most perplexing of the seven deadly sins, and the one that is hardest to define. Most people would probably think first of laziness when they think of sloth. On the other hand, sloth is often related to the older Latin idea of ‘accidie’, which is sometimes translated ‘spiritual weariness’ or ‘despair’. But these two definitions indicate the problem we have with sloth. If it is just sheer laziness, it might be considered as a slight moral failing, but most of us would hardly classify a little idleness as one of the great threats to human life. Sleeping in just a little longer in the morning hardly promises to bring western civilisation to its knees.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fined as ‘despair’, that sounds very close to ‘depression’, and we know that depression is usually an illness that afflicts some people without their choosing – it is not a freely chosen pattern of life, an act of disobedience to God or anyone else. By this understanding, sloth hardly counts as a sin either. Sloth is either too trivial to worry about, or too involuntary to blame.

나태(懶怠)는 일곱 가지 대죄(七罪宗) 중 가장 아리송하며, 정의하기 가장 힘든 죄입니다아마도 대부분의 사람들은 나태를 생각할 때 제일 먼저 게으름을 떠올릴 것입니다. 반면에 나태는 오래된 라틴어악치디에(accidie)’ 와 자주 연관되는데, 때때로영적 피로또는절망으로 번역됩니다. 하지만 이 두가지 정의는 우리가 나태의 죄를 생각할 때 가지는 문제점을 보여줍니다. 정말 단순한 게으름이라면 약간의 도덕적인 잘못으로 간주되는데, 우리 대부분은 약간의 게으름을 인간의 삶에 대한 큰 위협 중 하나로 분류하지 않습니다. 아침에 조금 더 잔다고 서구 문명이 무릎을 꿇을 가능성은 거의 없습니다. 또 한편으로는, 나태를절망으로 정의할 때 그것은우울증에 매우 가깝게 들리는데, 우리는 우울증이 일반적으로 자신의 선택과 관계없이 일부 사람들을 괴롭히는 질병이고, 자유롭게 선택된 삶의 패턴이 아니며, 신이나 다른 사람에 대한 불순종의 행위도 아니라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이런 식으로 이해한다면 나태를 죄로 간주하기조차 어렵습니다. 나태는 걱정하기에는 너무 사소하고 비난하기에는 너무 본의 아닌 면이 있습니다.

 

Clinical depression is an illness that can hit people for no apparent reason and for no fault of their own. The symptoms are similar, but it is important to distinguish depression from sloth. Depression can be caused by genetics, a traumatic event or the misuse of drugs. Sloth is not depression – it is another form of despair that starts with small things, a deliberately chosen shrug of the shoulders, a turning away from someone in need, a switching off of something in the heart. Sometimes it can be caused by disillusionment with life, but it sets in a pattern of allowing yourself to drift towards a languid ‘couldn’t be bothered’ approach that in time becomes a habit of life.

임상 우울증은 뚜렷한 이유 없이, 본인의 잘못도 아닌데 사람들에게 닥칠 수 있는 질병입니다. 증상은 비슷하지만 우울증과 나태를 구별하는 것은 중요합니다. 우울증은 유전이나, 충격적 사건 또는 약물 오용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나태는 우울증이 아닙니다 - 의도적으로 무시하거나, 도움이 필요한 사람을 외면하는 것, 마음 속에서 어떤 것을 완전히 지워버리는 등 작은 일로 시작되는 좌절의 한 형태입니다. 때로는 삶에 대한 환멸로 인해 발생하지만, 그것은 서서히 자기 자신을 나른한귀찮이즘쪽으로 밀어 넣는 패턴으로 자리 잡고 얼마 지나지 않아 삶의 습관이 되어버립니다.

 

Once sloth, or spiritual weariness, gets hold of you, it is hard to shake off, and it can lead to disaster. Sloth is essentially a giving up on life, and it leads to finding no pleasure in it, a dull, steady torpor that expects nothing new, nothing exciting, nothing worth getting out of bed for. Dorothy Sayers wrote of sloth:

일단 나태나 영적 피로에 사로잡히게 되면 떨쳐내기 어렵고 재앙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나태는 본질적으로 삶을 포기하는 것이어서, 어떠한 삶의 즐거움도 찾을 수 없게 되고, 새로운 것, 흥미로운 것, 침대에서 일어날만한 가치가 있는 어떤 것도 전혀 기대하지 않는 지루하게 계속되는 무기력증입니다. 도로시 세이어스는 나태에 대해 이렇게 썼습니다:

 

It is not merely idleness of mind and laziness of body: it is that whole poisoning of the will which, beginning with indifference and an attitude of ‘I couldn’t care less’, extends to the deliberate refusal of joy and culminates in morbid introspection and despair.”

“그것은 단지 생각의 나태함과 몸의 게으름이 아니다: 그것은 의지 전체에 독이 퍼지는 것인데, 처음에는 무관심과나와 상관없다는 태도에서 시작되어, 의도적으로 기쁨을 거부하다가 결국 병적인 자기성찰과 좌절로 끝난다.”

 

When we lose the passion for life, goodness, laughter and joy, then it may be a sign that sloth has fixed its grip on us.

우리가 삶에 대한 열정, 선함, 웃음, 기쁨을 잃어버릴 그 때, 아마도 나태가 우리를 붙잡았다는 신호일 것입니다.

 

Our culture is the most over-stimulated in history. Only a generation or two ago, children had to make do with a football, a doll, a game or two and a few friends. Then black-and-white computer ping-pong was born, closely followed by Space Invaders and we all thought the ultimate in entertainment had arrived. We were never to be bored again. Those games now look stone age. Yet with the arrival of unlimited information at the click of a mouse, games with graphics enabling you to fly the world, fight the Second World War and create your own civilization, have we eradicated sloth or boredom? If anything we have increased it.

역사상 우리 문화는 가장 과도하게 자극적입니다. 불과 한두세대 전만 해도 아이들은 축구공이나 인형, 게임 한두 개와 친구 몇 명이면 놀 수 있었습니다. 그러다 흑백 컴퓨터 탁구가 탄생했고, 얼마 지나지 않아 스페이스 인베이더가 뒤를 이으면서 우리 모두는 더 이상의 엔터테인먼트는 나오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우리가 다시는 지루할 일이 없을 것 같았죠. 지금 보면 그 게임들은 석기시대로 보입니다. 그러나 마우스 클릭 한번으로 무한 정보를 얻을 수 있고, 그래픽 게임으로 세계를 비행하고 제2차 세계대전에 참전하며 당신 만의 문명을 창조했는데, 우리가 나태와 지루함을 근절했나요? 오히려 더 증가시켰습니다.

 

Peter Kreeft comments: how do we explain the irony that the very society which for the first time has conquered nature by technology and turned the world into a giant fun-and-games factory, a rich kids’ playroom, the very society which has the least reason to be bored, is the most bored?”

피터 크리프트는 이렇게 말합니다: “기술로 최초로 자연을 정복하고 세상을 엄청난 재미와 게임공장, 부유한 아이들의 놀이터로 만들어 전혀 지루할 이유가 업을 것 같은 바로 그 사회가 가장 지루하다는 아이러니를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요?”

 

The problem is that however intricate the technology, however scintillating the entertainment, it soon gets superseded by something else. Hence, it’s hardly surprising when we turn our noses up at the triumphs of yesterday, as we have something better today, and when we even get disillusioned with today’s wonders, knowing they will soon be consigned to history as well.

문제는 아무리 기술이 미묘하고 재미있는 엔터테인먼트도 얼마 지나지 않아 또 다른 것으로 대체된다는 것입니다. 그러기에, 오늘 우리가 더 나은 것을 가졌다고 어제 이룩한 것을 하찮게 여긴다든지, 오늘의 경이로움 또한 곧 역사 속으로 보내질 것을 알기에 환멸까지 느끼는 건 그리 놀라운 일이 아닙니다.

 

But to dig a little deeper into the origins of sloth, Thomas Aquinas describes it as “sadness and abhorrence or boredom regarding a spiritual and divine good”. He refers to what happens when through numerous small choices and turning points, a person becomes incapable of being stimulated by anything good or beautiful or wise. Or worse, when goodness, beauty or wisdom evoke a response of disgust or a cynical smirk. When we lose the passion for life, goodness, laughter and joy, then it may be a sign that sloth has fixed its grip on us. It happens when there is nothing left, outside ourselves, to really believe in.

하지만 나태의 기원을 조금 더 깊은 차원으로 이해하자면, 토마스 아퀴나스는 그것을영적이고 신성한 선에 대한 슬픔과 혐오 또는 지루함이라고 묘사합니다. 그는 수많은 작은 선택들과 전환점들을 통해 인간이 선하거나 아름답거나 지혜로운 어떤 것에 의해서도 고무될 수 없게 되는 일들이 벌어짐을 말한 것입니다. 더 나쁜 건, 선함과 아름다움과 지혜가 혐오나 냉소적인 웃음이라는 반응을 불러일으키는 것입니다. 우리가 삶에 대한 열정, 선함, 웃음, 기쁨을 잃어버릴 그 때, 아마도 나태가 우리를 붙잡았다는 신호일 것입니다. 그것은 우리 자신 외에 진정으로 믿을만한 것이 아무것도 남지 않았을 때 나타납니다.

 

Looking at the other sins, we might be forgiven for thinking that they are a long list of restrictions, a denial of some of the fun things in life, a restriction on our pleasure-seeking, a dampener on passion. It is the inclusion of sloth on the list that gives the lie to this once and for all. Sloth is precisely a lack of passion, a settled laziness that for whatever reason fails to get worked up about poverty or cruelty or the threat to life on earth through climate emergency. It is a dullness that fails to wonder at green rolling hills, brooding mountains, an act of sheer unexpected kindness, the birth of a baby, Botticelli, Mozart or Taylor Swift (take your pick from the last three, or add more – beauty is naturally subject to taste). It is the spirit that reacts to cruelty, injustice and pain by shrugging the shoulders and switching the channel. Christianity encourages a passion for life and all that is good and beautiful. That is why it is fundamentally opposed to sloth, and puts it firmly on the list of habits to be shunned at all costs.

다른 죄들을 보면, 긴 제한 목록들이 있고, 인생의 재미들을 부정하며, 우리의 쾌락추구를 제한하는, 열정에 대한 억제제라고 생각해도 무리가 아닐 것입니다. 이 목록에 나태를 포함시킴으로써 이것은 단번에 거짓말로 드러납니다. 나태는 틀림없이 열정의 부족이며, 빈곤이나 잔인함 또는 기후 비상사태로 인한 지구상의 생명을 위협하는 것에 대해 어떤 이유라도 흥분하지 않는 안일한 게으름입니다. 푸른 언덕, 음산한 산들, 예상치 못한 친절함, 아기의 탄생, 보티첼리, 모차르트 또는 테일러 스위프트(마지막 세 가지 중에서는 선택하거나 더 추가하세요 - 아름다움은 당연히 취향에 달렸죠) 등에 대한 경이로움이 없다면 둔감한 것입니다. 영은 잔인함, 부정, 고통에 대해서 반대를 표시하고 돌아서며 대응합니다. 기독교는 삶에 대한 열정과 선하고 아름다운 모든 것을 격려합니다. 그러한 이유로 기독교는 근본적으로 나태를 반대하며 반드시 피해야 할 습관 목록에 확고하게 올려 놓습니다.

 

According to the Christian account of life, we are beings created with a capacity for immense joy, passion, wonder, inquisitiveness and emotion. The world was created as an arena for all this enchantment. It was made so that we might regularly sit back in amazement at the fact that we get to live this life, this physical/spiritual life on this planet that is our home, a place of sheer beauty, the majesty of a lion, the speed of a hummingbird, the taste of pure water. We were intended to take delight in such things, to explore them and enjoy them, yet most of all we were intended to delight in their Creator, the author of all this goodness, the one from whom they (and we) all come, the most beautiful and desirable one of all.

기독교적 삶의 이야기들을 보면, 우리는 엄청난 기쁨과 열정, 경이로움, 호기심, 감정을 수용할 수 있는 존재로 창조되었습니다. 세상은 이 모든 매혹의 장으로 창조되었습니다. 우리로 하여금 정기적으로 앉아서 순전한 아름다움이 있고, 사자의 위엄, 빠르게 날아다니는 벌새, 순수한 물맛이 있는 이 지구, 바로 우리들의 집에서 육체적/영적 삶을 살 수 있다는 사실에 감격하도록 창조되었습니다.

 

In his great autobiographical reflection entitled ‘Confessions’, St Augustine says of the human race: “they choose to look for happiness not in you, but in what you have created.” Now Augustine himself was never quite sure whether taking pleasure in created things was a good idea or not, however, he did at least make this one point supremely well: that our ultimate joy was to be found in God. The joy we find in sunsets, friends and apple tart are tasters, anticipations, to give us a taste for the very best, which is God himself. And conversely, when we lose our taste for God, we are likely sooner or later, to lose our taste for other good things, or even to develop a taste for things that are bad for us, like hallucinogenic drugs or the thrill of theft or even cruelty, that try to imitate the ecstasy of a close connection with God.

성 아우구스티누스는고백록이라는 그의 위대한 자서전적 성찰에서 인간에 대해 이렇게 말합니다: "그들은 당신 안에서 행복을 찾지 않고 당신이 창조한 것에서 찾으려고 합니다." 아우구스티누스 자신은 피조물에서 즐거움을 찾는 것이 좋은 생각인지 아닌지 확신할 수 없었지만, 적어도 한 가지는 아주 확실하게 짚었습니다: 우리의 궁극적인 기쁨은 하느님 안에서 찾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반대로 우리가 하느님에 대한 관심을 잃으면 조만간 다른 좋은 것들에 대한 취향을 잃거나, 그렇지 않으면 심지어 우리에게 나쁜 것들에 대한 취향을 발전시키는데, 환각제나 마약 혹은 도둑질이나 심지어 잔인함의 짜릿함 같은 것들이 커질 수 있습니다. 하느님과의 친밀함에서 경험하는 황홀경을 모방하는 것입니다.

 

I remember my first taste of Guinness.  The dark, swirling Irish drink had always had a fascination for me growing up, and I remember the first time I plucked up courage to look older than my age, and bought a can in the local store to give it a try. It was foul. I hated it – it tasted sour, bitter and unpleasant. It didn’t help that it was a hot summer’s day and the beer was warm, but that didn’t matter – it was the kind of experience that might have made me never touch the stuff again. It wasn’t until later on, a few years older, after a bit of perseverance that I began to appreciate the hidden flavours, the rich, full wheaty taste. I learnt that just because it didn’t taste like lemonade did not necessarily mean that it was bad. As I learnt to appreciate and enjoy it, Guinness soon became a favourite drink, something I would choose above all others.

내가 처음 맛본 기네스가 기억납니다. 검고 소용돌이치는 아일랜드 음료는 어려서부터 항상 나를 매료시켰는데, 처음으로 용기를 내어 내 나이보다 많은 듯 보이며 동네 가게에서 캔을 사서 마셔봤던 기억이 납니다. 해서는 안 될 일이었습니다. 맛이 없었습니다. 시큼하고 씁쓸하고 불쾌한 맛이었어요. 게다가 더운 여름날 이어서 맥주는 미지근 했지만 그건 상관없었습니다여하간 나로 하여금 다시는 맥주에 손을 대고 싶지 않게 만들 정도의 경험이었습니다.  몇 년 후에 조금 더 인내심을 갖고 나서야 숨겨진 풍미, 진하고 풍성한 밀의 맛을 알아차리기 시작했습니다. 레모네이드 맛이 나지 않는다고 해서 반드시 나쁜 것은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내가 기네스를 음미하고 즐기게 되자 곧바로 나의 최애 음료가 되었습니다.

 

If it doesn’t sound too irreverent, for many people it is a bit like that with God. The idea of enjoying God is about as appealing as that sip of Guinness was for me aged 16. Yet in time, we can learn to appreciate things that have a deeper richness, a more profound taste. Guinness is a trivial example, but the same can be true of God – an acquired taste can take a while to come, but when it comes, it is the richest of all.

너무 불경건하게 들리지 않는다면, 많은 사람들에게 있어서 하느님에 관해서도 그렇습니다. 하느님을 즐긴다는 생각은 16살 이었던 나에게 기네스를 한 모금 마셨을 때 만큼이나 매력적이었습니다. 하지만 때가 되면 우리는 더욱 깊은 풍요로움과 더욱 심오한 맛을 지닌 것들을 감상하는 법을 배울 수 있습니다.

기네스는 사소한 예이지만, 신도 마찬가지입니다. 후천적인 맛은 시간이 걸리지만, 그 순간이 오면 가장 풍성한 맛을 느낄 수 있습니다. 기네스는 사소한 예이지만, 하느님에 대해서도 그럴 수 있습니다맛을 아는데까지 시간이 좀 걸리지만, 한번 알게 되면 가장 풍성한 맛을 느낄 수 있습니다.

 

The great past masters of the Christian way advise us that the surest way to combat sloth, the turning away from all that gives life, is to cultivate not just a zest for life, but an unlikely but deeply satisfying desire for the one who gave the gift of life in the first place.

과거 기독교의 위대한 스승들은 생명을 주는 모든 것을 외면하는 나태와 싸우는 가장 확실한 방법을 조언합니다. 삶에 대한 열정뿐만 아니라 태초에 생명의 선물을 주신 분을 향해서 가망이 없는 것 같지만 깊이 만족케 하시는 갈망을 키우라고 합니다.


 


덧글쓰기  

광고성 글이나, 허위사실 유포, 비방글은 사전 동의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이전글 베드로 24-06-09 71
다음글 베드로 24-06-08 88


묵상 영성 전례 옮긴글들
이경래 신부 칼럼 김영호 박사 칼럼

홀리로드 커뮤니티

댓글 열전

안녕하세요?선교사님!
정읍시북부노인복지관 멸치 판매..
원주 나눔의집 설명절 선물세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