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225 성탄 대축일
이사 52:7-10 / 히브
1:1-4 / 요한 1:1-14
올바른 교리와 올바른 실천으로서의 성탄
오늘 우리가 들은 독서와 복음은 매년 성탄절 예배 때마다 낭송되는 익숙한 말씀들입니다. 또한 어제 들은 성탄전야 복음도 마찬가지입니다. 다만, 성탄전야와 성탄 낮 예배에서 읽은 복음 간의 초점은 좀 다릅니다. 성탄전야
복음이 아기 예수가 탄생하는 구체적인 장면에 집중했다면, 성탄 낮 복음은 이 세상에 오신 이 아기가
어떤 분인지에 대한 교리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다시 말해, 성탄전례말씀은
하느님의 태어남에 대하여 두 가지 관점에서 증언하고 있습니다. 하나는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증언이고, 다른 하나는 추상적이고 이론적인 증언입니다. 이런 맥락에서 교회는
하느님의 계시를 교리와 실천이라는 두 가지 측면으로 가르치고 있습니다. 그리고 교회는 그 가르침을 왜곡하지
않고 올바르게 하기 위해 꾸준히 노력해 왔습니다. 교회는 이것을 ‘올바른
교리(orthodoxy)’, 그리고 ‘올바른 실천(orthopraxy)’이라고 부릅니다. 이제 올바른 교리에 강조점을
둔 성탄 낮 예배의 말씀에 대하여 함께 생각해 봅시다.
요한복음이 공관복음(共觀福音)이라고 부르는 마태오, 마르코, 루가
복음과 다른 점 중 하나는 예수님의 태어나심에 대하여 대단히 관념적이고 이론적으로 증언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요한복음의
시작을 읽으면 우리는 마치 창세기의 시작부분을 읽을 때 받는 느낌이 듭니다. 창세기 1장 1절은 “한 처음에 하느님께서 하늘과 땅을 지어 내셨다”라고 선언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요한복음 1장 1절은 “한 처음, 천지가 창조되기 전부터 말씀이 계셨다”라고 증언하고 있습니다. 우리말 성경에는 모두 “한 처음”이라고
번역되어 있지만, 창세기의 ‘한 처음’은 그리스어 ‘제네시스(γένεσις)’라는 단어인데, 그 뜻은 이 세상이 언제, 어떻게 시작되었냐는 질문에 대한 답으로서, 모든 존재와 사건의 기원을 의미합니다. 반면에 요한복음의 ‘한 처음’은 그리스어 ‘아르케(ἀρχή)’라는 단어인데, 그 뜻은 무엇이 만물에 대한 근본인가에 대한 답으로서, 모든 존재의 근본원리 혹은 시초를 의미합니다. 이런 맥락에서 제네시스와 아르케 모두 어떤 것의 시작과 근원이라는 측면에서 ‘한 처음’이라고 번역할 수 있지만, 구약의 제네시스가 이 우주와 세상이 전개되는 시간적이고 역사적인 측면을 강조하고 있다면, 신약의 아르케는 이 우주와 세상의 본질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그러면 구약의 창세기처럼 글을 쓰면서도 요한복음 저자가 ‘한 처음’을 제네시스라는 단어를 쓰지 않고, 왜 아르케라는 단어를 썼을까요? 그것은 요한복음 저자가 요한복음이라는 책을 쓰기 전에 이미 이 세상에 오신 예수님을 체험한 사건을 먼저 겪었기 때문입니다. 달리 표현하면, 요한은 머리를 써서 예수가 누구인가를 사색하고, 그 사색의 결과로 예수를 믿었던 것이 아니라, 나사렛 사람 예수라는 분을 만나서 그 분이 하신 말씀과 행적, 특별히 십자가와 부활이라는 충격적인 사건을 접하고 난 뒤에, 사람이면서도 사람을 초월한 그 분의 신비한 매력에 사로잡혔고, 자신과 사람들을 사로잡은 그 분이 도대체 어떤 분인지 기도하고, 사색하고, 공부하는 가운데 도달한 자신의 신앙 고백이었기 때문입니다. 바꿔 말하면, 교리(독사, δόξα)가 있기 전에 실천(프락시스, πρᾶξις)이 먼저 있었던 것입니다. 그래서 교회는 성탄절에 공관복음이 증언한 아기 예수 탄생 이야기를 먼저 선포하고, 그런 다음 요한복음이 증언한 이 아기 예수가 ‘한 처음’부터 창조주 하느님과 함께 하셨던 분이라는 것을 고백하는 것입니다.
친애하는 교우 여러분!
교회역사를 보면, 교회는 오랫동안 ‘무엇을 믿느냐’라는 것을 가지고 씨름해 왔습니다. 그런 과정에서 수많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