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도와 신앙 / 생활묵상
설교 말씀
자유 게시판
교회 사진첩
한줄 나눔
교회 소식 / 공지사항
가족 소개
자료실
성서 이어쓰기

[3-1] 삼일절


선교와 복음화에 관한 성공회적 이해

작성일 : 2013-08-18       클릭 : 79     추천 : 0

작성자 Augustine  
첨부파일
선교와 복음화에 관한 성공회적 이해
     Signposts Series No. 2
Bishop Michael Doe  / The General Secretary of USPG
 
 
선교와 복음화에 관해서 성공회가 강조하는 12 요소들
 
1. 하느님의 선교(Missio Dei)
 
성공회 신자들은 모든 선교의 원천과 목표가 하느님의 본성과 사역에 있다고 믿는다.
Anglicans believe that the source and goal of all mission lies
in the nature and work of God.
• 선교는 시작부터 끝까지 하느님의 사역이다.
• 선교는 세상을 위해서 한 공동체의 증언 안에 육화한(incarnated) 하느님 사랑의 기쁜 소식, 곧 예수의 해방하는 선교에 기독교인들이 참여하는 것이다. 
• 선교는 하느님의 삼위일체적 본성의 당연한 발로다.
• 모든 선교는 하느님의 사역(work)과 본성(nature), 행동(action)과 계시(self-revelation)로부터 오고, 그 양자 위에 기초한다.
 
 
2. 예수 그리스도 중심
 
성공회 신자들은 모든 선교가 예수 그리스도에게 중심을 두어야 한다고 믿는다.
 Anglicans believe that all mission should be centered on Jesus Christ.
• 예수 그리스도의 삶과 죽음과 부활은 하느님 선교의 완전한 모습을 가장 선명하게 보여주는 계시 사건이다. 
• 예수 그리스도 사건에 나타난 하느님의 선교에 대한 우리의 응답은 하느님께서 하시는 일, 곧 예수의 삶과 죽음과 부활에 참여하는 것이다.
• 성령의 역사하심을 통해, 예수의 삶과 죽음과 부활에 참여할 때,  우리의 선교적 응답은 올바른 방향을 가질 수 있고, 예수처럼 담대하게 말하고 행동할 수 있는 열정을 얻을 수 있다.
• 예수의 삶과 죽음과 부활에 중심을 둔 하느님의 선교는 정중한 복음화(respectful evangelism), 사랑의 섬김(loving service), 예언적 증언(prophetic witness)의 세 차원을 포함한다.  
• 예수 그리스도에게 중심을 두는 선교는 측정할 수 있는 결과로 선교의 성공을 판단하지 않는다.

 
3. 전인적(全人的) 선교
 
성공회 신자들은 선교는 전인적(holistic)이고 통전적(通全的, integrated)이어야 한다고 믿는다.
Anglicans believe that mission must be holistic, or “integrated”.
• 선교는 인간 삶의 모든 차원과, 피조 세계의 생명성의 전차원을 포괄하는 것이어야 한다.
• 전인적 선교는 복음 전도의 차원과 정치 사회적 책임의 차원과, 창조 보전의 차원을 모두 포괄한다.
 
※ 전인적 “선교의 다섯 가지 표지”. 
(1984년과 1990년 ACC는 선교의 전인성과 통전성을 다섯 가지로 요약하고 있다. )
◎ 선교의 다섯 가지 표지
 ○ 하느님 나라의 기쁜 소식의 선포함.
 ○ 새 신자들을 가르치고, 세례주고, 양육함.
 ○ 사랑의 섬김으로 인간의 필요에 응답함.
 ○ 불의한 사회구조를 변혁하기 위해 노력함.
 ○ 창조의 통합성(integrity)을 보호하고, 지구의 생명성을 회복(renew)하고 유지하기 위해서 노력함 

 
4. 올바른 선교이해는 성서와 전통과 이성을 필요로 한다.
 
성공회 신자들은 성서가 결정적으로 중요하다는 것을 믿지만, 그러나 전통과 이성을 필요로 한다.  
Anglicans believe that Scripture is crucial,
but we need Tradition and Reason.
• 오직 성서만으로 선교를 이해할 수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 중앙집중적 교도권이나 교권이 성서/전통/이성의 관계를 결정하거나, 그에 따른 특정 선교이해를 결정하지 않는다.
• 절대적 교권이나, 무오한 성서의 권위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전통과 이성의 빛 속에서 읽고 이해된 성서의 권위 하에서 선교가 올바로 이해될 수 있다.

 
5. 신학적 다양성

성공회 신자들은 신학적 다양성이 선교 이해에 있어서 (보다) 창의적(건설적)일 수 있다고 믿는다.
Anglicans believe that theological diversity can be creative
in understanding mission.
• 선교에 대한 신학적 이해의 공통성과 마찬가지로 차이들도 유지되어야 한다.
• “다른 사람들의 삶과, 그들의 삶의 상황 속에 역사하시는 그리스도의 현존을 찾고, 인식하고, 배우고, 기뻐할 필요가 있다.”
• 선교에 관한 다양한 신학을 축복으로 여기고 일, 다양한 문화와 세계관을 가진 사람들을 축복으로 알고 받아들이는 공동체가 기독교 진리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넓혀 갈 수 있다.
 

6. 선교에서 교회의 역할
 
성공회 신자들은 교회가 선교와 선교의 전달의 필수적인 한 부분임을 믿는다.
Anglicans believe that the Church is the integral part of mission and its delivery.
• 교회는 우리가 자발적으로 만드는 것이 아니라, 하느님께서 자신의 선교를 위해서 만드신 도구다.
• 교회는 하느님 선교의 완성을 기다리는 종말론적 기다림, 곧 대림의 공동체다. 
• 교회의 유지와 선교는 결코 분리될 수 없다.
• 전례와 성사는 그리스도의 선교를 선포하고 신자들에게 그 선교를 위임하는데 목적이 있다.

 
7. 선교의 화육적 성격
 
성공회 신자들은 선교가 그리스도의 화육에 뿌리를 두고 있어야 한다고 믿는다.
Anglicans believe that mission must be rooted in the Incarnation of Christ.
• 성공회는 영국 민족의 삶과 질서에 육화된, 맥락화된 교회로 시작하였다.
• 성공회는 선교를 통해 다양한 문화 맥락 속에 육화하였다.
• 오늘날에는 사회적 보살핌, 의료와 교육기관들, 공동체적 참여, 그리고 정의와 평화를 위한 행동과 같은 것들을 통해서, 성공회 선교는 화육에 대해서 증언한다.
 

8. 문화적 감수성
 
성공회 신자들은 선교가 자신의 문화적 맥락을 진지하게 다루어야 한다고 믿는다.
Anglicans believe that mission must take its cultural context seriously.
• 성공회의 전통과 선교는 지역 문화를 존중한다.
• 성공회 선교는 문화의 부정적 측면, 즉 선교자의 문화와 피선교지의 문화가 모두 하느님의 부르심을 가리는 측면이 있다는 것을 잘 인식한다. 그래서 주님을 따르는 겸손함을 늘 새롭게 할 필요가 있다.

 
9. 진리에 대한 개방성과 우리자신의 미완성의 수용
 
성공회 신자들은 선교 안에서 하느님이 무엇을 하시려고 하는지에 관한 우리의 이해가 계속 자란다고 믿는다.
Anglicans believe that in mission we continue to grow in our understanding of what God is doing.
• 성공회 신자들은 진리에 관한 많은 증거들이 아직은 드러나지 않고 잠재되어 있다고 믿는다. 그래서 자신들을 미완의 상태에 있다고 보고, 진리와 보편 교회를 향한 강한 개방성을 요구한다. 
• 성공회의 선교는 진리와 보편교회를 향한 개방적 모험이며, 순례다.
• 성공회가 선교적으로 예수 그리스도가 주님이심을 증거할 때에도, 다른 신앙공동체에 대하여 존경과 이해의 마음을 결코 잃지 않는다.

 
10. 지도력과 공동체
 
성공회 신자들은 선교는 주교의 지도력 하에 있는 모든 세례 받은 신자들의 책임이라고 믿는다.
Anglicans believe that mission is the responsibility of all the baptized under the leadership of the bishop.
• 선교는 선택적인 교회의 활동이 아니다. 선교는 교회됨에 있어서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이다.
• 선교는 모든 신자에게 맡겨진 책임이며, 주교의 일차적 책임과 역할은 선교 지도자가 되는데 있다.
• 세계 성공회 공동체도 선교 공동체이고, 모든 관구도 선교관구이고, 모든 교구도 선교교구이고, 개별 교회도 선교 교회다.

 
11. 전체 공동체의 활동과 상호지원
 
성공회 신자들은 선교란 전체 성공회 공동체를 가로지르는 나눔의 활동이 되어야 한다고
믿는다.
Anglicans believe that mission should be a shared activity across the Communion.
• 세계 성공회 공동체는 세계 선교에 대한 비젼으로부터 성장해 왔다.
• 선교지원이 과거에는 북에서 남으로의 일방적 흐름이었다면, 이제는 상호존중과 상호의존의 관계로 나아가고 있다.
• 세계 성공회 공동체를 통해서, 성공회 신자들은 선교의 지역적, 민족적, 국제적 차원의 의미와 도전들을 이해할 수 있게 된다.
• 성공회 신자들이 함께 나누는 세계 성공회 공동체가 우리 자신의 선호에 따라서 모양이 만들어지거나 갈라질 수 있는 무엇이 아니라, 관용과 상호 책임성을 통해서 표현되는, 하느님의 선물이라는 우리의 믿음을 강화한다.
 

12. 초교파적(Ecumenical)성격
 
성공회 선교는 보다 넓은 초교파적 주고 받음의 한 부분이 되어야 한다.
Anglican mission should be part of larger ecumenical giving and receiving.
• 하느님 선교의 초교파적 보편적 목표를 이해하면서, 성공회 신자들은 성공회가 특징적으로 기여하고 있는 점들은 전체의 일부분이라는 겸손함으로 받아들인다.
• 성공회 선교는 보다 큰 일치를 향한 개방성을 강조하며, 자신의 독특한 기여를 배타적 주장을 위한 기초로 사용하지 않는다.
• 성공회의 선교는 다른 교회들과 다른 전통들과 나아가 모든 성인들과 함께하는 선교를 향해 나아감으로써, 그리스도 사랑의 보다 완전한 차원을 이해하는 길로 나아간다.

 
결론
 
세가지 유혹
 이 소책자는 성공회 전통이 복음화를 포함하는 선교 이해에 제공해 왔던 특별한 기여와 강조점들을 설명하기 위해서 시도한 것이다.
 성공회 전통은, 한편으로는 그것의 적용에 대해서 지속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는 것이긴 하지만, 지켜져야 할 전통이다.
 16-7세기의 퓨리턴들로부터, 18-9세기의 부흥주의 운동을 거쳐서, 우리 시대의 은사적 소비자-교회에 이르기까지, 여러 지점에서, 숫자를 더하는 것이 일차적인 선교 목적이 되는 거듭난 기독교인들의 모임을 가지고 앞에서 말한 전통의 유산을 대치하려는 움직임이 있어왔다. 
 그리고 선교보다는 유지를 더 선호하는 가톨릭쪽에서 또 다른 시도들이 나란히 진행되고 있었다.  예를 들어 화육을 성사주의로 축소시키려는 시도가 계속되어왔다.
 그리고 일부 자유주의적 성공회 신자들이, 세속적이고 신앙간 교차가 이루어지는 문화에 보다 적합할 수 있다는 이유로, 교회의 선교를 제거하거나 약화시키려는 유혹에 굴복하고 있음도 결코 무시할 수 없다.
 모든 색조의 성공회 신자들은 그리스도 자신이 가져오는 도전에 지속적으로 직면해야 한다. 모든 선교는 그에게서 흘러나오고, 그에게서 끝난다.
 성공회 전통은, 그 본성에 있어서, 지역문화와 관계해야 하고, 그래서 서로 다른 형태들을 취해야 한다.
 그러나, 이 소책자가 보여주려고 노력했던, 선교에 대한 독특한 성공회적 접근은  하느님께서 오늘날  어디에서 교회를 부르고 계신지를 초교파적으로 이해하는데 핵심적은 기여를 하고 있다.
 2008년 람베스회의로 모인 주교들은 이 유산을 지키고, 이 유산이 우리의 미래를 만들어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책임을 지고 있는 것이다. (2009. 7. 성공회대 총장 양권석 신부 초역)


덧글쓰기  

광고성 글이나, 허위사실 유포, 비방글은 사전 동의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이전글 주일성수(主日聖守)에서 매일(每日)성수로 Augustine 08-18 112
다음글 성공회의 길(The Anglican Way) Augustine 08-18 96


 

교회소개 | 오시는길 | 개인정보 보호정책 | 이용안내
미국성공회 한소망교회    관할사제 : 이상복 (어거스틴)   주소 : 2783 Valwood Parkway, Farmers Branch, TX 75234    
개인정보관리책임 : 이상복    전화 : 214-507-1187    팩스 : --    메일 :    사이트의 모든 권리는 한소망교회 에 있습니다.